종종 갑자기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가 헷갈리실때가 있습니다. 특히 오랫만에 오랫만에 선생님과 연락을 할때면 특히나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의 표준말이 더 아리송하게 확신이 서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뵈다와 봬다", "뵈요왜 봬요", "뵙겠습니다와 봽겠습니다." 모두 발음이 비슷해서 혼용되기 쉬운 한국말인데요. 맞춤법 틀리고 하면 되려고 하던 연애도 되지 않는 실정입니다. 헷갈리는 맞춤법 잘 이용해서 지인이나 썸남썸녀에게 창피하지 않도록 해봐요. '뵙'자에는 '하'를, '봽'자에는 '해'를 대입해보면 이해가 좀 더 쉽습니다.
홍길동님 내일 뵙겠습니다. vs 홍길동님 내일 봽겠습니다.
=> '뵙'과 '봽'을 '하'와 '해' 로 대입해봅니다.
=> A. 홍길동님 내일 뵙겠습니다. => 홍길동님 내일 하겠습니다.
=> B. 홍길동님 내일 봽겠습니다. => 홍길동님 내일 해겠습니다.
위 두문장중 더 자연스러운 것은 바로 A겠죠. 조금 더 자연스럽게 다른 예시를 들겠습니다. 나중에 뵈요/ 나중에 봬요 를
하와 해를 대입해보면 나중에 하요 / 나중에 해요 가 되겠죠. 따라서 맞는 말은 나중에 봬요가 맞는 표현이 되겠습니다.
또 뵈다는 보이다의 준말로서, "요새 걔 안보이던데?" 의 준말로 "요새 걔 안뵈던데?" 라고 줄여쓸 수 있습니다.
자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를 구별하는 방법과 뵈요와 봬요를 구분하는 방법 뵈다의 뜻 등 다양하게 알아봤는데요. 혹여 좀더 헷갈리는 한국어 표준문법이 있다면 네이버 국어사전이나 다음 국어사전을 통해서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느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등긁어주는 정보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TV 무료보기 1편- 푹티비(pooq tv)로 실시간 지상파 방송 보기 (0) | 2018.04.27 |
---|---|
교보문고 재고확인 방법 (0) | 2018.04.26 |
힘내라 청춘인증 방법 알아보기 (0) | 2018.04.26 |
근로계약서 미작성 벌금 알아보기 (0) | 2018.04.23 |
경기도 청년희망키움통장이란 신청 방법 소개 (0) | 2018.04.23 |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