뵈다/봬다, 뵈요/봬요, 뵙겠습니다/봽겠습니다 간단 구분법


종종 갑자기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가 헷갈리실때가 있습니다. 특히 오랫만에 오랫만에 선생님과 연락을 할때면 특히나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의 표준말이 더 아리송하게 확신이 서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뵈다와 봬다", "뵈요왜 봬요", "뵙겠습니다와 봽겠습니다." 모두 발음이 비슷해서 혼용되기 쉬운 한국말인데요.  맞춤법 틀리고 하면 되려고 하던 연애도 되지 않는 실정입니다. 헷갈리는 맞춤법 잘 이용해서 지인이나 썸남썸녀에게 창피하지 않도록 해봐요. '뵙'자에는 '하'를, '봽'자에는 '해'대입해보면 이해가 좀 더 쉽습니다.


홍길동님 내일 뵙겠습니다. vs 홍길동님 내일 봽겠습니다. 

=> '뵙'과 '봽'을 '하'와 '해' 로 대입해봅니다. 

=> A. 홍길동님 내일 뵙겠습니다. => 홍길동님 내일 하겠습니다.

=> B. 홍길동님 내일 봽겠습니다. => 홍길동님 내일 해겠습니다.


위 두문장중 더 자연스러운 것은 바로 A겠죠. 조금 더 자연스럽게 다른 예시를 들겠습니다. 나중에 뵈요/ 나중에 봬요 를

하와 해를 대입해보면 나중에 하요 / 나중에 해요 가 되겠죠. 따라서 맞는 말은 나중에 봬요가 맞는 표현이 되겠습니다. 


또 뵈다는 보이다의 준말로서, "요새 걔 안보이던데?" 의 준말로 "요새 걔 안뵈던데?" 라고 줄여쓸 수 있습니다. 


자 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를 구별하는 방법과 뵈요와 봬요를 구분하는 방법 뵈다의 뜻 등 다양하게 알아봤는데요. 혹여 좀더 헷갈리는 한국어 표준문법이 있다면 네이버 국어사전이나 다음 국어사전을 통해서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느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다음 어학사전

blog image

Written by dsdfsdfefe

다양한 정보, 생활정보 나눌수록 행복한 곳 댓글은 사랑입니다.